록웰 B-1 랜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록웰 B-1 랜서는 미국 공군의 전략 폭격기이다. 1950년대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여러 기술적, 전략적 변화를 겪으며 B-1A, B-1B 등 파생형이 등장했다. B-1A는 1970년대에 개발이 중단되었고, B-1B는 1980년대에 개발되어 저고도 침투 능력을 갖추고, 재래식 무기 탑재 능력을 강화했다. B-1B는 걸프전,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 여러 분쟁에 투입되었으며, 2021년 미 공군은 B-1B 17대를 퇴역시키고 45대 체제로 전환했다. B-1B는 다양한 전자 장비와 무장을 탑재하며,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성능을 향상시켜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첫 비행한 항공기 - 시코르스키 S-70
시코르스키 S-70은 UH-60 블랙 호크를 포함한 다양한 파생 모델을 가진 다목적 중형 헬리콥터로, 군용 및 민간용으로 전 세계에서 운용되며 다양한 임무 수행 능력을 갖추고 첨단 장비를 탑재하고 있다. - 1974년 첫 비행한 항공기 - 파나비아 토네이도
파나비아 토네이도는 영국, 서독, 이탈리아가 공동 개발한 가변익 다목적 전투기로, 전술 타격, 정찰, 방공, 해상 임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단거리 이착륙 성능을 갖춘 전후 가장 성공적인 폭격기 프로그램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미국의 폭격기 - 보잉 B-52 스트래토포트리스
보잉 B-52 스트래토포트리스는 미국 보잉사가 개발한 장거리 전략 폭격기로, 냉전 시기 핵 억지력의 핵심 전력이었으며, 현재까지 개량을 거쳐 2050년까지 운용될 예정이다. - 미국의 폭격기 - 컨솔리데이티드 B-24 리버레이터
컨솔리데이티드 B-24 리버레이터는 콘솔리데이티드사에서 개발한 미국의 4발 중폭격기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선에서 B-17을 대체하여 주력 폭격기로 활약했으며,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항공기이다. - 사발 제트기 -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 146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 146은 1980년대 영국에서 개발된 4개의 터보팬 엔진을 장착한 고익 배치 지역 여객기로, 짧은 활주로에서도 운용 가능하며, 여러 파생형과 Avro RJ 시리즈로 업그레이드되었으나 2003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 사발 제트기 - 보잉 707
보잉 707은 보잉이 제작한 4발 제트 여객기로, 장거리 항공 여행 시대를 열며 민간 항공의 주력 기종으로 활약했으나, 후속 기종과 규제로 민간 생산은 종료되고 현재는 일부 군용기로만 운용된다.
록웰 B-1 랜서 | |
---|---|
개요 | |
![]() | |
종류 | 초음속 전략 중형 폭격기 |
제작 국가 | 미국 |
제작사 | 원래: 노스 아메리칸 록웰/록웰 인터내셔널 현재 계약자: 보잉 |
최초 비행 | 1974년 12월 23일 |
도입 | 1986년 10월 1일 |
생산 기간 | 1973년–1974년, 1983년–1988년 |
생산 대수 | 104대 |
운용 현황 | 현역 |
주요 운용국 | 미국 공군 |
비용 | |
대당 가격 | 2억 8,310만 미달러 (B-1B, 1998년) |
2016년 가치 환산 | 4억 미달러 |
제원 | |
기타 정보 |
2. 개발 배경
B-52가 실전 배치되기 시작한 1950년대 말부터 후계기 개발 논의가 시작되었다. 당시 항공 기술의 핵심은 속도였으며, 제트 시대가 열리면서 아음속 폭격기는 빠르게 구식이 되어가고 있었다. 미 공군은 적기의 추격을 따돌릴 수 있는 빠른 속도로 적진 깊숙이 침투하여 핵폭탄을 투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판단했다.
B-52가 실전 배치되던 1950년대 말, 미국 공군은 속도를 중시하며 후계기 개발을 시작했다. 초음속 시대가 열리면서 B-52 역시 구식화될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고고도 초음속 침투 폭격기인 XB-70 발키리 개발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1960년 U-2기 격추 사건과 지대공 미사일(SAM) 기술의 발전으로 고고도 침투의 취약성이 드러났고,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등 대체 수단의 부상으로 XB-70 계획은 1972년 취소되었다.
이에 따라 1957년 노스 아메리칸 항공의 B-70 발키리가 차기 폭격기로 선정되었다.[6] B-70은 고도 약 21336.00m 상공에서 마하 3의 속도로 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6개의 엔진을 가진 고고도 초음속 폭격기였다.[7][8] 당시 소련의 주력 요격기는 고고도로 비행하는 록히드 U-2 정찰기도 요격하기 어려웠으므로,[9] 훨씬 빠른 B-70은 적 전투기를 쉽게 따돌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13]
그러나 1950년대 후반 지대공 미사일(SAM) 기술이 발전하면서 고고도 비행의 취약성이 드러났다.[10] 결정적으로 1960년 게리 파워스가 조종하던 U-2기가 소련의 SAM에 격추되면서[11] 고고도 침투 전략의 효용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었다. 고고도 비행은 레이더에 쉽게 탐지될 뿐만 아니라, 소련이 MiG-25와 같은 고속 요격기를 개발하면서 속도 우위마저 장담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장거리 핵 공격 수단으로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 부상하면서 위험을 감수하고 유인 폭격기를 고고도로 침투시킬 필요성도 줄어들었다.
이러한 상황 변화에 따라 미 공군 전략 공군 사령부(SAC)는 새로운 침투 방식으로 저고도 비행에 주목했다. 지형 마스킹을 통해 레이더 탐지를 피하고, 지표면 반사로 인한 레이더 클러터를 이용하여 적의 탐지 능력을 무력화하는 방식이었다.[12] 당시의 레이더 기술로는 지표면에 가깝게 비행하는 항공기를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추적하기 어려웠으며(룩다운/슛다운 기능 부족), SAM 역시 저고도 목표물에 대한 대응 능력이 부족했다.[12][30]
고고도 비행에 최적화된 B-70은 저고도에서 공기역학적 항력 증가로 인해 속도가 아음속으로 제한되고 항속거리가 크게 줄어드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했다.[10] 결국 B-70은 B-52보다 약간 빠른 아음속 속도에 항속거리는 더 짧은, 비효율적인 폭격기가 될 운명이었다. 이러한 이유와 ICBM의 중요성 증대로 인해 1961년 케네디 행정부는 B-70 폭격기 프로그램을 취소했고,[13][14] 제작된 두 대의 XB-70 시제기는 초음속 연구 프로그램에 활용되었다.[15] 반면, B-52는 뛰어난 유연성 덕분에 저고도 침투 임무에 맞게 개량되며 생명을 연장할 수 있었다. 대규모 연료 탑재량은 저고도 장시간 비행을 가능하게 했고, 넓은 동체는 레이더 재밍 및 기만 장비를 추가 탑재할 공간을 제공했다.[16]
XB-70 계획이 취소된 후에도 미 공군은 전략 폭격기에 대한 필요성을 계속 인식하고 있었다. 고고도 고속 침투 대신 저고도 침투라는 새로운 개념에 맞춰, 1961년부터 아음속 저고도 폭격기(SLAB)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는 1963년 항속 거리 연장 전략 항공기(ERSA)와 저고도 유인 침공기(LAMP) 연구로 이어졌고, 이후 선진형 유인 침공기(AMP)와 선진형 유인 정밀 공격 시스템(AMPSS) 연구로 발전했다. 1965년에는 이 연구들이 통합되어 선진형 유인 전략 항공기(AMSA, Advanced Manned Strategic Aircraft) 계획이 수립되었다.
1970년 록웰사가 AMSA 계획의 주 계약자로 선정되어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 새로운 폭격기에는 소련의 선제 핵 공격으로 활주로가 파괴되더라도 짧은 거리에서 이륙할 수 있는 STOL(단거리 이착륙) 성능이 요구되었으며, 이를 위해 가변 후퇴익 설계가 채택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B-1A 시제기는 1974년 12월 23일 첫 비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1977년 6월 30일, 카터 행정부는 군축 정책의 일환으로 B-1A의 개발 및 도입을 중단시켰다. 전략 미사일의 대량 배치와 새로운 순항 미사일 개발로 유인 폭격기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높은 생산 및 유지 비용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또한 카터 행정부는 비밀리에 스텔스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폭격기(B-2의 전신인 ATB 프로젝트) 개발을 승인한 상태였다.[211] 개발이 중단된 후에도 완성된 B-1A 시제기 4기는 폭격 침투 평가(BPE)라는 명목으로 시험 비행을 계속했다.
상황은 1981년 8월 레이건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다시 반전되었다. "강한 미국"을 내세운 레이건 행정부는 B-1 계획을 장거리 전투 항공기(LRCA, Long-Range Combat Aircraft)라는 이름으로 부활시켰다. 이는 노후화된 B-52를 대체할 새로운 폭격기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다만, 부활한 B-1B는 기존 B-1A와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가졌다. B-1A 시제기 일부에 적용되었던 조종석 전체 분리 탈출 시스템 대신 일반적인 사출 좌석으로 변경되었고, 비용 절감과 스텔스성 향상을 위해 엔진 공기 흡입구가 가변형에서 고정형으로 바뀌었다. 이 변경으로 인해 최고 속도는 B-1A의 M 2에서 M 1.25로 감소했다. 이러한 변경을 거쳐 B-1B는 생산 및 배치가 이루어졌으며, 엔진 및 전자장비 문제로 개발이 다소 지연된 후 1986년에 초기 작전 능력(IOC)을 획득했다.
3. 개발
이에 미 공군은 전략을 바꿔 적의 레이더 탐지를 피하는 초저고도 고속 침투로 방향을 전환했다. 여러 연구를 거쳐 1964년 첨단 유인 전략 항공기(Advanced Manned Strategic Aircraft, AMSA) 계획이 수립되었고, 1970년 노스 아메리칸 록웰이 주 계약자로 선정되어 B-1A 개발이 시작되었다. B-1A는 가변익을 채택하여 저고도 고속 침투와 마하 2급의 고고도 초음속 비행 능력을 모두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1974년12월 23일 시제기가 첫 비행에 성공했지만, 개발 비용 급증과 공중 발사 순항 미사일(ALCM)의 등장, 그리고 당시 비밀리에 개발 중이던 스텔스 폭격기(B-2) 등의 요인으로 1977년6월 30일 카터 행정부에 의해 양산 계획이 취소되었다.[38][48][211]
1981년, 레이건 행정부는 군비 증강 정책의 일환으로 B-1 계획을 부활시켰다.[56] 변화된 전략 환경과 노후화된 B-52 대체 필요성에 따라, B-1은 B-1B로 재탄생했다. B-1B는 B-1A를 기반으로 하되, 비용 절감과 스텔스성 강화를 위해 공기 흡입구를 고정식으로 변경하고 최대 속도를 마하 1.25로 낮추는 등 설계를 변경했다. 핵 공격 능력보다는 재래식 정밀 타격 능력이 강조되었으며, 1986년 초도 작전 능력(IOC)을 획득하여 미 공군의 주력 폭격기로 운용되기 시작했다.
3. 1. B-1A 프로그램
1955년, 미국 공군은 보잉 B-52 스트라토포트리스의 탑재량과 항속거리, 그리고 컨베어 B-58 허슬러의 마하 2급 속도를 결합한 새로운 폭격기를 구상했다.[6] 1957년 12월, 공군은 노스 아메리칸 항공이 제안한 B-70 발키리를 차기 폭격기로 선정했다. B-70은 약 21336.00m 이상의 고고도에서 마하 3으로 순항할 수 있도록 설계된 6개의 엔진을 가진 대형 폭격기였다.[7][8] 당시 소련의 주력 요격기로는 고고도를 비행하는 록히드 U-2 정찰기를 요격하기 어려웠고,[13][9] B-70은 U-2와 비슷한 고도에서 훨씬 빠른 속도로 비행하여 소련 전투기들을 따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13]
그러나 1950년대 후반 지대공 미사일(SAM) 기술이 발전하면서 고고도 항공기의 생존성이 위협받기 시작했다.[10] 이는 1960년 U-2기 격추 사건에서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가 조종하던 U-2기가 격추되면서 현실로 증명되었다.[11] 미국 공군 전략 공군 사령부(SAC)는 이미 이러한 위협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U-2기 사건 이전부터 폭격기의 침투 방식을 저고도 비행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저고도 비행은 지형 마스킹 효과를 이용하여 레이더 탐지 거리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언덕이나 계곡 같은 지형지물이 레이더 전파를 차단하여 폭격기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식이다.[12] 또한 당시 레이더는 지표면 반사파로 인한 클러터 현상 때문에 특정 각도 이하로 비행하는 물체를 탐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폭격기가 레이더 기지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저고도로 비행하면 탐지를 피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당시의 SAM은 저고도 항공기에 효과적이지 못했다.[12][30] 저고도 비행은 지상 클러터 때문에 요격기의 레이더 탐지(당시에는 룩다운/슛다운 기능 부재)도 어렵게 만들었다.
고고도 성능에 최적화된 B-70은 저고도 침투 전략으로의 전환에 큰 타격을 받았다. 저고도에서는 공기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여 B-70의 속도는 아음속으로 제한되었고 항속거리도 크게 줄어들었다.[10] 결과적으로 B-70은 B-52보다 약간 빠른 아음속 속도를 가졌지만 항속거리는 더 짧은 폭격기가 될 운명이었다. 이러한 성능적 한계와 더불어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존 F. 케네디 행정부는 1961년 B-70 폭격기 프로그램을 취소했다.[13][14] 제작된 XB-70 시제기 2대는 초음속 연구 프로그램에 활용되었다.[15]
B-52는 원래 저고도 침투용으로 설계되지 않았지만, 기체의 유연성 덕분에 변화하는 전장 환경에 적응하며 B-70보다 오랫동안 운용될 수 있었다. B-52의 큰 연료 탑재량은 저고도에서 장시간 작전을 가능하게 했고, 넓은 동체 공간은 향상된 레이더 재밍 및 기만 장비를 추가하는 데 유리했다.[16] 베트남 전쟁을 거치며 핵전쟁만이 미래 전쟁의 전부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었고, "빅 벨리(Big Belly)" 개수를 통해 B-52는 폭탄 탑재량이 약 27215.52kg까지 증가하여[17] 지상군 지원 임무까지 수행하는 강력한 전술 항공기로 변모했다.[30] 반면 B-70의 작은 폭탄창은 이러한 역할에 부적합했다.
B-52가 저고도 임무에서 효과적이긴 했지만 이상적인 기체는 아니었기에, 장거리 저고도 비행에 특화된 새로운 항공기 설계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침투기 개념의 첫 실용화 사례는 전술 임무를 위한 가변익 초음속 전투폭격기인 F-111이었다.[18] 이후 전략적 장거리 침투기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
B-70 이후 첫 전략 침투기 연구는 1961년의 저고도 아음속 폭격기(Subsonic Low-Altitude Bomber, SLAB)였다. 이 연구는 후퇴익과 T자형 꼬리날개, 대형 고바이패스 터보팬 엔진을 갖춘, 폭격기보다는 여객기에 가까운 설계를 제시했다.[19] 이후 가변익 설계를 적용한 장거리 타격 항공기(Extended Range Strike Aircraft, ERSA) 연구가 이어졌다. ERSA는 약 4535.92kg의 탑재량과 약 16206.05km의 항속 거리(저고도 비행 약 4667.09km 포함)를 가진 비교적 작은 항공기를 구상했다. 1963년 8월에는 유사한 저고도 유인 침투기(Low-altitude Manned Penetrator, LAMP) 설계 연구가 완료되었는데, 이는 약 9071.84kg의 폭탄 탑재량과 약 13244.87km의 항속 거리를 요구했다.[20][21]
이러한 연구들은 1963년 10월 첨단 유인 정밀 타격 시스템(Advanced Manned Precision Strike System, AMPSS) 연구로 통합되었고, 보잉, 제너럴 다이내믹스, 노스 아메리칸(이후 노스 아메리칸 록웰)이 참여했다.[22][23] 1964년 중반, 미 공군은 요구 사항을 수정하여 프로젝트 명칭을 첨단 유인 전략 항공기(Advanced Manned Strategic Aircraft, AMSA)로 변경했다. AMSA는 AMPSS와 달리 F-111과 유사한 마하 2급 고고도 고속 비행 능력을 추가로 요구했다.[24] 설계 연구가 길어지자 노스 아메리칸 록웰 엔지니어들은 AMSA가 "미국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항공기(America's Most Studied Aircraft)"의 약자라고 농담하기도 했다.[25]
한편, B-70 프로그램 취소를 둘러싼 논쟁은 새로운 전략 폭격기의 필요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미 공군은 폭격기, ICBM,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을 결합한 핵 삼위일체 개념을 유지하며 폭격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폭격기는 견고한 군사 목표물을 타격하고, 공격받지 않는 안전한 공역에서 대기하다가 신속하게 대응 공격에 나설 수 있는 유연한 옵션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SLBM의 등장은 기동성과 생존성 측면에서 폭격기의 입지를 약화시켰고, 미니트맨 III와 같은 신형 ICBM은 정밀 타격 능력과 신속성을 갖추게 되었다. 당시 ICBM은 단위 비용이 낮아 경제적인 대안으로 간주되었지만,[26] 개발 비용은 훨씬 높았다.[10] 미국 국방부 장관 로버트 맥나마라는 공군의 핵 억지력에서 폭격기보다 ICBM을 선호했으며,[27] 고가의 신형 폭격기 개발에 부정적이었다.[28][29] 맥나마라는 1964년부터 AMSA 프로그램을 연구 및 부품 개발 단계로 제한했다.[29]
프로그램 연구는 계속되어, IBM과 오토네틱스는 1968년 AMSA의 첨단 항공 전자 장비 연구 계약을 따냈다.[29][31] 맥나마라는 기존 B-52 개량과 함께 단거리 임무를 위해 약 300대의 FB-111A를 추가 도입하는 방안을 선호하며 AMSA 개발 자금 지원을 계속 반대했고, 1968년에도 예산 지원을 거부했다.[30][29][31]
리처드 닉슨 대통령 취임 후, 그의 행정부는 유연한 대응 전략과 단일 통합 작전 계획(SIOP) 유지를 위해 AMSA 계획을 재검토했다. 닉슨 행정부의 국방 장관 멜빈 레이어드는 FB-111이 요구되는 항속거리를 충족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도입 수를 줄이고, 대신 AMSA 설계 연구를 가속할 것을 권고했다.[33] 1969년 4월, AMSA 계획은 공식적으로 B-1A로 명명되었다.[30][33] 이는 1962년 제정된 새로운 폭격기 명명 규칙에 따른 첫 번째 명칭이었다. 공군은 1969년 11월에 제안 요청서(RFP)를 발행했다.[35]
1970년 1월, 보잉, 제너럴 다이내믹스, 노스 아메리칸 록웰이 제안서를 제출했고,[35][34] 같은 해 6월 노스 아메리칸 록웰이 개발 계약자로 선정되었다.[35] 초기 계획은 시험 기체 2대, 비행 가능 시제기 5대, 엔진 40기를 제작하는 것이었으나, 1971년에 지상 시험 기체 1대와 비행 시험 시제기 3대로 축소되었다.[36] 노스 아메리칸 록웰은 1973년 사명을 록웰 인터내셔널로 변경하고 항공기 부서를 노스 아메리칸 항공기 운영(North American Aircraft Operations) 부문으로 개칭했다.[37] 생산 표준에 맞춰 제작될 네 번째 시제기는 1976 회계연도 예산으로 주문되었다. 최종 목표는 B-1A 240대를 생산하여 1979년까지 초도 작전 능력(IOC)을 확보하는 것이었다.[38]
록웰의 B-1A 설계는 F-111과 XB-70의 특징을 결합했다. 고속 비행 중 비상 탈출 시 승무원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조종석 전체가 분리되는 탈출 승무원 캡슐을 채택했다. 또한 이착륙 시 더 많은 양력을 얻고 고속 비행 시 항력을 줄이기 위해 대형 가변익을 특징으로 했다.[62] 날개를 완전히 펼치면 B-52보다 훨씬 짧은 활주로에서도 이착륙이 가능하여 운용 가능한 기지의 폭이 넓어졌다. 소련 방공망 돌파는 초음속으로 최대한 빠르게 통과한 뒤, 방어가 상대적으로 약한 지역에서 다시 아음속으로 감속하는 방식으로 구상되었다.[62] 큰 기체 크기와 연료 탑재량 덕분에 초음속 돌파 구간을 비교적 길게 유지할 수 있었다.
고고도에서 마하 2의 속도를 내기 위해 배기 노즐과 공기 흡입 램프는 가변식으로 설계되었다.[39] 초기에는 저고도에서도 마하 1.2의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동체와 날개 구조의 주요 부분에 티타늄 사용이 계획되었으나, 이후 저고도 속도 요구 조건이 마하 0.85로 완화되면서 티타늄 사용량이 줄어 비용이 절감되었다.[36] 기수 근처에 장착된 한 쌍의 작은 카나드는 저고도 비행 시 발생하는 난기류를 상쇄하여 비행 안정성을 높이는 능동 진동 감쇠 시스템의 일부였다.[40] 초기 시제기 3대는 4명의 승무원이 탑승하는 탈출 캡슐 방식을 채택했지만, 네 번째 시제기에는 각 승무원을 위한 일반적인 사출 좌석이 장착되었다.[41]
B-1A의 실물 크기 모형(mock-up) 검토는 1971년 10월 말에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성능 요구 조건 미달 및 정비성/운용성 개선을 위해 297건의 설계 변경이 요구되었다.[42] 첫 번째 B-1A 시제기(공군 일련번호 74–0158)는 1974년 12월 23일에 첫 비행에 성공했다.[43] 그러나 개발이 진행되는 동안 당시의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기체 단가는 계속 상승했다. 1970년 예상 단가는 4000만달러였으며, 1975년까지 이 수치는 7000만달러로 상승했다.[44]
1977년6월 30일, 지미 카터 행정부는 군축 정책의 일환으로 B-1A의 개발 및 도입 중단을 발표했다. 이는 전략 미사일의 대량 배치와 신형 순항 미사일 개발이 진행되면서 유인 폭격기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유인 폭격기 생산 및 유지에 막대한 비용이 든다는 점이 주요 이유였다. 또한, 당시에는 기밀이었지만 카터 대통령은 1978년 초에 스텔스 폭격기인 B-2 스피릿으로 이어지는 첨단 기술 폭격기(Advanced Technology Bomber, ATB) 프로젝트를 승인한 상태였다.[211] B-1A는 도입이 중단된 이후에도 완성된 시제기 4대를 이용하여 폭격 침투 평가(Bombing Penetration Evaluation, BPE)라는 이름의 시험 비행을 계속했다.
3. 2. B-1B 프로그램
1981년 8월, 레이건 행정부는 "강한 미국" 정책의 일환으로 B-1 계획의 부활을 발표했고, B-1은 장거리 전투 항공기(LRCA, Long-Range Combat Aircraft)로 배치하기로 결정되었다. 이는 이미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등이 대량 배치되어 대형 장거리 폭격기에 의한 핵폭탄 공격이라는 전술이 현실에 맞지 않게 되었고, 1980년대 후반에는 퇴역하는 B-52를 대체할 새로운 폭격기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B-1B는 B-1A와 비교하여 요구 사양이 크게 변경되었다.
B-1A 시제기 일부에는 승무원 탈출 장치로 조종석 전체를 비상 탈출시키는 분리 탈출 시스템이 적용되었으나, 양산형인 B-1B에서는 일반적인 사출 좌석으로 변경되었다. 엔진 자체는 개량형이었지만, 엔진 공기 흡입구가 가변형에서 고정형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공기 흡입구 변경은 비용 절감과 스텔스성 향상을 위한 조치였으나, 결과적으로 최고 속도는 마하 2에서 마하 1.25로 감소했다. B-1B의 생산 및 배치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최초의 실전 투입은 1998년 2월 사막의 여우 작전이었다.[207] 초기 작전 능력(IOC) 획득은 엔진 문제와 탑재된 컴퓨터 및 ECM 시스템 간의 비호환성 문제(B-1B의 ECM이 스스로를 방해한다는 조롱을 받기도 했다)로 인해 개발이 지연되어 1986년에 이루어졌다.
B-1B는 초저고도 침투를 통한 핵/폭탄 공격, 통상 전략 폭격, 순항 미사일 플랫폼 등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형 추적 레이더, 적외선 감시 장치, 도플러 레이더, ECM 시스템 등 충실한 항공전자 장비를 탑재했다.
제2차 전략 무기 감축 조약(START II)의 대상이 되면서 1994년에 핵 공격 임무에서 제외되었고, 1990년대 중반부터 현대화 개조와 함께 통상 무기 및 정밀 유도 무기 탑재 능력 향상이 추진되었다.[207] 이후 2011년 신 전략 무기 감축 조약 발효에 따라 미국은 러시아와 협의하여 B-1B에 핵 공격 능력이 없음을 확인하고, 조약상 "핵탄두 1기로 계산되는 중폭격기" 수량에서 제외했다.[213]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공중 발사 핵 순항 미사일(ALCM, ACM) 탑재를 불가능하게 하는 구조 변경(플레이트 용접, 관련 케이블 제거) 공사가 이루어져 핵 공격 능력은 완전히 제거되었다.[217]
B-1B의 탑승원은 기장, 부조종사, 무장 시스템 조작원, 방어 시스템 조작원 4명이며, 좌석은 모두 ACES II 사출 좌석이다.
B-1B의 기체는 B-1A와 마찬가지로 주익에서 동체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블렌디드 윙 바디 형태를 가졌다. 주익은 가변 후퇴익으로, 전연에는 슬랫이, 후연에는 플랩이 장착되어 있다. 에일러론 대신 상부에 스포일러를 사용하며, 롤링 제어는 스포일러와 수평 미익의 차동(테일론)으로 이루어진다. 기수 하부에는 저고도 비행 시 난기류를 상쇄하는 안정판(ride control vanes)이 장착되어 있다. 조종 장치는 플라이 바이 와이어 방식이며, 전투기와 유사한 조종간을 사용한다.
엔진은 제너럴 일렉트릭 F101-GE-102 애프터버너 장착 터보팬 엔진 4기를 탑재한다. 최대 무장 탑재량은 56000kg(기내 34000kg, 기외 23000kg)이다. 동체 중앙에는 3개의 내부 무장창이 있으며, 전방 2개는 격벽 이동 및 제거가 가능하여 탑재 무장에 따라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기외에는 8개의 하드포인트가 있다. 내부 무장창에는 AGM-86B 8발, AGM-129 4발, AGM-69 24발, Mk82 폭탄 또는 Mk36 DST 기뢰 84발 등을 탑재할 수 있다. 성능 개량을 통해 클러스터 폭탄, JDAM, AGM-154 JSOW, AGM-158 JASSM 등의 운용 능력이 추가되었고, 2008년부터는 AN/AAQ-33 스나이퍼 XR 조준 포드를 장착하여 레이저 유도 폭탄의 자체 목표 지시 및 투하가 가능해졌다.
레이더는 AN/APQ-164 다중 모드 패시브 위상 배열 레이더를 기수에 장비하여 정밀 폭격, 지형 추적/회피, 지상 매핑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전 자위 장비의 핵심은 방어 시스템 조작원이 조작하는 방어 전자 장비 시스템(DAS)이다. DAS는 AN/ALQ-161A 무선 주파수 감시(RFS)/전자 방해 시스템(ECMS), AN/ASQ-184 공격 전자 장비 시스템/방어 관리 시스템(DMS), 꼬리 경고 기능(TWF) 등으로 구성되어 레이더 탐지 및 방해, 미사일 경고, 채프/플레어 자동 사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예인식 레이더 디코이 장비도 추가되었다.
한편, 미국에서는 군수 산업의 외국 자재 사용 규제에도 불구하고, F-35뿐만 아니라 F-16, 스탠다드 미사일, 그리고 B-1에서도 중국산 자재 사용이 확인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212]
2019년, 미 공군은 B-1의 조기 퇴역 계획을 발표했다. 오랜 중동 지역 작전으로 기체 수명이 예상보다 많이 소모되었고, 상태 개선에 많은 비용이 들어 B-1B를 감축하고 그 비용을 차세대 폭격기인 B-21 도입 등에 사용하려는 의도였다.[214] 2021년2월 17일, 미 공군은 보유 중인 62대의 B-1B 중 17대를 퇴역시키고 45대 체제로 전환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퇴역 기체 중 일부는 예비 부품 확보용(Type 1000)으로 활용되거나, 시험기, 연구용 등으로 전환되고, 상태가 좋은 4대는 유사시를 대비해 보관(Type 2000 모스볼)된다.[215][216]
4. 설계
1955년 미국 공군은 보잉 B-52 스트래토포트리스의 적재하중과 작전범위, 컨베어 B-58 허슬러의 최대 속도 마하 2를 결합한 새로운 폭격기 요구사항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개발된 B-1은 B-52와 비교했을 때, 더 무거운 중량에도 불구하고 초음속 비행이 가능했다. 이는 초음속 비행에 유리한 동체와 날개 설계, 그리고 애프터버너가 장착된 엔진 덕분이었다. B-52는 애프터버너가 없는 엔진을 사용했지만, B-1 계열은 애프터버너를 사용하여 초음속 비행에 필요한 추력을 확보했다.
지미 카터 행정부에서 취소되었던 B-1 프로그램은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에서 부활하여 B-1B로 재설계되었다.[49] B-1B는 기존 B-1A 설계를 기반으로 변화된 임무 요구사항에 맞춰 수정되었다.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최대 속도를 마하 2+에서 마하 1.25로 낮춘 것이다.[57][62][76] 이는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 감소를 위해 가변형 공기 흡입구를 단순한 고정식 S-덕트 형태로 변경했기 때문이다.[62][77] 대신 저고도 침투 능력을 강화하여 저고도 최대 속도는 마하 0.92로 향상되었다.[57][76] 또한 최대 이륙 중량은 B-1A의 약 179168.84kg에서 약 216363.38kg으로 증가하여[62][63] 내부 연료 만재 상태에서 외부 무장 탑재 능력을 확보했다. 기체 구조 강화와 불필요한 부분의 경량화를 통해 자중 증가는 최소화되었으며,[63] 소련의 신형 요격기 및 레이더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 전자전 장비도 대폭 업그레이드되었다.[62]
B-1 랜서는 동체와 날개가 부드럽게 이어진 블렌디드 윙 바디 형태를 기본으로, 주익의 후퇴각을 15도(완전 전진)에서 67.5도(완전 후퇴)까지 조절할 수 있는 가변익을 채택했다.[72] 날개를 앞으로 펼친 상태는 이륙, 착륙, 고고도 순항 비행에 유리하며, 뒤로 젖힌 상태는 고아음속 및 초음속 비행 시 항력을 줄여준다.[72] 가변익과 높은 추력 대 중량비 덕분에 B-1은 이전 폭격기보다 짧은 활주로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73] 기수 부분에 장착된 작은 삼각 날개 형태의 카나드(Canard)는 구조 모드 제어 시스템(SMCS)의 일부로, 저고도 비행 시 발생하는 난기류의 영향을 상쇄하여 비행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74] 조종 계통은 플라이 바이 와이어 방식이며, 에일러론 없이 주익 상부의 스포일러와 수평 미익의 차동(테일론)으로 롤링을 제어한다.
엔진은 제너럴 일렉트릭 F101-GE-102 애프터버너 장착 터보팬 엔진 4기를 동체 양측의 엔진 포드에 2기씩 탑재한다.[78] 이 엔진은 이후 F110(F-14, F-15K/SG, F-16) 및 F118(B-2 스피릿, U-2S) 엔진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79] 민간용으로는 CFM56 엔진의 코어로도 활용되었다.[80]
B-1B는 블렌디드 윙 바디 설계와 S-덕트 흡입구, 레이더 흡수 재료 사용 등으로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을 B-52의 약 1/50[91][94] ~ 1/100[207] 수준인 약 2.4m2 정도로 낮췄다.[91][95] 최대 무장 탑재량은 56000kg (내부 34000kg, 외부 23000kg)이다.[207]
4. 1. 개요

레이건 대통령은 취임 당시, 단기적으로 B-1을 계속 사용할지, 아니면 훨씬 더 발전된 항공기인 ATB(B-2)의 개발을 기다릴지에 대한 카터 대통령과 동일한 결정에 직면했다. 당시 연구에 따르면, ALCM을 장착한 기존의 B-52 편대는 1985년까지는 신뢰할 만한 위협으로 남아 있을 것으로 보였으며, B-52 전력의 75%가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생존할 것으로 예측되었다.[58] 그러나 1985년 이후, SA-10 미사일, MiG-31 요격기, 그리고 최초의 효과적인 소련 공중 조기 경보 통제기 (AWACS) 시스템의 도입으로 B-52의 취약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었다.[59] 이에 따라 1981년, 1990년대에 사용할 폭격기를 위한 새로운 연구에 자금이 할당되었고, 이는 ''장거리 전투 항공기''(LRCA) 프로젝트 개발로 이어졌다. LRCA는 B-1, F-111, 그리고 ATB를 잠재적 해결책으로 평가하며, 순수한 전략 작전보다는 다목적 능력에 중점을 두었다.[58]
1981년, B-1이 ATB보다 먼저 운용될 수 있어 B-52의 취약성이 증가하는 시기와 ATB 도입 사이의 과도기를 메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레이건 대통령은 B-1과 ATB를 모두 획득하는 것이 최선의 해결책이라고 결정했고, 1981년 10월 2일, LRCA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100대의 B-1을 주문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2][60] 1982년 1월, 미국 공군은 100대의 새로운 B-1 폭격기 개발 및 생산을 위해 록웰에 총 22억달러 규모의 두 건의 계약을 체결했다.[61]

기존 B-1A 설계를 변경하여 B-1B가 탄생했다.[49] 주요 변경 사항 중 하나는 최대 속도를 마하 1.25로 낮춘 것인데,[57][62][76] 이는 가변형 공기 흡입구를 더 단순한 고정식으로 대체하여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을 줄이기 위함이었다.[62] 대신 저고도 침투 능력 강화를 위해 저고도 속도는 마하 0.92로 향상되었다.[57] 최대 이륙 중량은 B-1A의 약 179168.84kg에서 약 216363.38kg으로 증가했으며,[62][63] 이는 내부 연료를 가득 채우고 외부 무장을 탑재한 상태로 이륙하기 위함이었다. 록웰 엔지니어들은 기체 중요 부위를 강화하고 비중요 부위의 무게를 줄여 자중 증가는 최소화했다.[63] 또한, 자슬론 레이더 시스템을 갖춘 MiG-31 및 하향 감시 능력을 갖춘 다른 항공기에 대응하기 위해 전자전 장비가 대폭 업그레이드되었다.[62]
그러나 이 계획에 대한 반대도 의회 내에서 광범위했다. 비평가들은 기존의 문제점, 특히 성능과 비용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64] B-1B와 유사한 전자 장비를 갖춘 B-52 역시 요격을 피할 수 있을 것이며, B-1의 속도 이점은 줄어들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또한, B-1B가 제공할 "과도기"는 10년 미만일 것이며, 훨씬 성능이 뛰어난 ATB 설계가 도입되면 곧 쓸모없어질 것이라는 비판도 있었다.[65] 반면, B-1을 지지하는 주요 논거는 대형 재래식 무기 탑재량과 우수한 이륙 성능으로 인해 다양한 비행장에서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또한 생산 하청 계약이 여러 의회 선거구에 분산되어 정치적 지지를 확보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했다.[66]
B-1A 1호기는 해체되어 레이더 테스트에 사용되었고,[67] 2호기와 4호기는 B-1B 사양으로 개조되었다. 최초의 B-1B는 1983년 3월에 완성되어 비행 테스트를 시작했으며, 최초의 생산형 B-1B는 1984년 9월 4일에 공개되어 1984년 10월 18일에 첫 비행을 했다.[68] 100번째이자 마지막 B-1B는 1988년 5월 2일에 인도되었으나,[69] 마지막 기체가 인도되기 전에 미 공군은 이 항공기가 소련 방공망에 취약하다는 결론을 내렸다.[70] 1996년, 록웰 인터내셔널의 우주 및 방위 사업 부문은 보잉에 매각되었으며,[71] 보잉은 현재까지 B-1의 주요 계약자 역할을 맡고 있다.[1]
B-1B는 대형 폭격기로서는 드물게 가변익을 채택하여 날개 후퇴각을 15도에서 67.5도까지 조절하며 폭넓은 속도 영역을 비행할 수 있다.[207] 앞서 언급된 고정식 공기 흡입구 설계와 더불어, 주익과 동체가 부드럽게 이어진 블렌디드 윙 바디 형태는 B-1B의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을 B-52의 약 1/100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데 기여했다.
소련의 Tu-160 블랙잭은 B-1과 외형이 매우 유사하여 B-1을 참고하여 개발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기술적으로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크기도 Tu-160이 더 크다. 이는 동시대 미소 양국의 우주왕복선과 부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2016년 8월에는 미국 태평양 사령부 산하의 괌에도 배치되어, 북한까지 약 2시간 만에 도달할 수 있게 되었다.[208] 2021년 기준으로 45기가 운용 중이며, 2025년부터 노스롭 그루먼 B-21 레이더로 교체를 시작하여 2036년까지 전 기종을 퇴역 시킬 예정이다.[209][210]

B-1B는 초저고도 침투를 통한 핵 공격 및 재래식 폭탄 투하, 순항 미사일 발사 플랫폼 등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형 추적 레이더, 적외선 감시 장치, 도플러 레이더, ECM 시스템 등 다양한 전자 장비를 탑재했다. 그러나 엔진 문제와 탑재된 컴퓨터 및 ECM 시스템 간의 충돌 문제(B-1B의 ECM이 자체 시스템을 방해한다는 조롱을 받기도 했다)로 개발이 지연되어 초기 작전 능력(IOC) 획득은 1986년에 이루어졌다.
제2차 전략 무기 감축 조약 (START II)의 대상이 되면서 1994년 핵 공격 임무에서 제외되었고, 현재 운용 중인 기체는 모두 핵무기 탑재 능력이 제거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현대화 개조를 통해 재래식 무기 탑재 능력과 정밀 유도 무기 운용 능력이 향상되었다.[207]

B-1B의 탑승원은 기장, 부조종사, 무장 시스템 조작원(WSO), 방어 시스템 조작원(DSO) 4명이며, 모든 좌석에는 ACES II 사출 좌석이 장착되어 있다. 기체 구조는 주익에 슬랫과 플랩이 장착되어 있으며, 에일러론 대신 상부의 스포일러와 수평 미익의 차동(테일론)으로 롤링을 제어한다. 조종 계통은 플라이 바이 와이어 방식이며, 전투기와 유사한 조종간을 사용한다. 엔진은 제너럴 일렉트릭 F101-GE-102 애프터버너 장착 터보팬 엔진 4기를 탑재했다.
무장 최대 탑재량은 56000kg(기내 34000kg, 기외 23000kg)이다. 동체 중앙에는 3개의 내부 무장창이 있으며, 전방 2개는 격벽을 제거하여 하나의 큰 무장창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체 하부에는 8개의 외부 파일런이 있다. 내부 무장창에는 AGM-86B ALCM 8발, AGM-129 ACM 4발, AGM-69 SRAM 24발, 또는 Mk82 500파운드 폭탄 84발 등을 탑재할 수 있다. 외부 파일런에도 AGM-69나 AGM-129를 각각 12발 탑재 가능하다. 무장은 회전식 발사기(Rotary Launcher)에 장착되어 무장창에 탑재된다. 성능 향상을 통해 클러스터 폭탄, JDAM과 같은 GPS 유도 폭탄, AGM-154 JSOW, AGM-158 JASSM 등의 운용 능력이 추가되었다. 2008년부터는 AN/AAQ-33 스나이퍼 XR 조준 포드를 운용하여 자체적으로 레이저 유도 폭탄을 투하할 수 있게 되었다.
레이더는 AN/APQ-164 다중 모드 패시브 위상 배열 레이더를 기수에 장착하고 있으며, 정밀 폭격 지원 및 저고도 지형 추적/회피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전 자위 장비로는 AN/ALQ-161A 무선 주파수 감시/전자 방해 시스템(RFS/ECMS), AN/ASQ-184 공격/방어 관리 시스템(OAS/DMS), AN/ALQ-161 꼬리 경고 기능(TWF) 등으로 구성된 방어 전자 장비 시스템(DAS)을 탑재하여 전방위 위협에 대응한다. 채프/플레어 발사기와 예인식 레이더 디코이도 장착되어 있다. START II 조약에 따라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핵무기 관련 장비가 제거되어 핵 공격 능력은 상실했다.[217]
4. 2. 항공 전자 장비
B-1의 주 컴퓨터는 IBM AP-101로, 우주왕복선과 B-52 폭격기에도 사용되었다.[83] 이 컴퓨터는 JOVIAL 프로그래밍 언어로 프로그래밍되었다.[84]
랜서의 공격 항공전자 장비의 핵심은 웨스팅하우스 (현 노스롭 그러먼) '''AN/APQ-164''' 전방 감시형 공격 수동 전자 주사 배열 레이더 세트이다.[85] 이 레이더는 전자 빔 조향 기능(레이더 반사 면적 감소를 위해 아래쪽으로 향하는 고정 안테나 포함), 합성 개구 레이더, 지상 이동 표적 지시 (GMTI), 지형 추종 레이더 모드를 갖추고 있다.[85] 또한 도플러 항법, 전파 고도계, 관성 항법 장치 기능도 포함한다.[85] B-1B 블록 D 업그레이드를 통해 1995년부터 GPS 수신기가 추가되었다.[86] 초기에는 지형 추적 레이더와 적외선 감시 장치, 도플러 레이더 등도 탑재했다.
AN/APQ-164 레이더는 F-16 전투기에 사용된 AN/APG-66 레이더를 발전시킨 다중 모드 패시브 위상 배열 레이더이다. TACAN과 기체의 관성 항법 장치 정보를 바탕으로 정밀 폭격을 지원하며, 저고도 비행 시 지형 추적 및 회피 기능을 제공하는 공격 전자 장비 시스템(OAS)의 핵심 역할을 한다. 주요 모드로는 기수 좌우 45도 범위의 실시간 지상 매핑(그랜드 매핑), 특정 목표의 고해상도 지도 작성(해치 맵), 정확한 대기 속도 계측(벨로시티 업데이트), 오프셋 위치의 지상 정보 파악(정밀 위치 업데이트), 정확한 고도 계측, 다른 항공기 발견 및 추적(랑데뷰), 기상 탐지 등이 있다.
B-1의 방어 전자 장비 시스템(DAS)은 전자전 자위 능력의 핵심이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이튼 AN/ALQ-161A''' 레이더 경고 수신기 및 방어 재밍 시스템: 세 세트의 안테나(각 날개 앞쪽 밑면, 꼬리 라돔 후방향)를 통해[88][89] 전 방향에서 오는 다수의 레이더 주파수를 탐지하고, 내장된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자동 및 동시 방해 전파를 발신한다.[87] 데이터 버스로 다른 장비와 연동되며, AN/ASQ-184 방어 관리 시스템(DMS)을 통해 조작 및 표시된다.
- '''AN/ASQ-184''' 공격 전자 장비 시스템/방어 관리 시스템(DMS): 전체 방어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고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AN/ALQ-161 꼬리 경고 기능(TWF)''': 꼬리 라돔에 위치한 AN/ALQ-153 미사일 접근 경고 시스템 (펄스-도플러 레이더)을 사용하여[90] 후방에서 접근하는 미사일을 탐지하고 추적한다. 위협적인 미사일이 탐지되면 방해 신호를 보내고, DMS를 통해 승무원에게 경고음과 함께 방향 및 거리 정보를 제공한다.
방어 시스템 조작원은 DAS를 통해 위협 정보를 받고 대응책을 사용한다. 대응책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 '''AN/ALE-49 플레어 디스펜서''': 조종석 뒤 상단에 총 8개가 장착되어 있으며, AN/ASQ-184 시스템이 관리한다.[91] 각 디스펜서에는 12개의 MJU-23A/B 플레어를 탑재할 수 있다. MJU-23A/B는 개당 무게가 약 1.50kg 이상인 대형 적외선 대응책 플레어 중 하나이다.[92] 이 일회용 방해 장치(EXCM) 시스템은 컴퓨터 제어를 통해 채프와 플레어를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발사할 수 있다.
- '''ALE-50 예인 미끼 시스템''': 레이더 유도 미사일을 기만하기 위한 예인 미끼를 탑재한다.[93] 최근에는 기체 후부에 예인식 레이더 미끼 장치가 추가되어 페어링에서 미끼를 전개할 수 있다.
2005년에는 데이터 링크 장치 도입과 승무원 표시 장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졌고, 2010년에는 완전 통합형 데이터 링크(FIDL)가 장착되었다.
B-1의 생존성을 높이는 또 다른 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더 반사 면적(RCS)이다. 기술적으로 스텔스 항공기는 아니지만, 항공기 구조 설계, 구불구불한 엔진 공기 흡입 경로, 레이더 흡수 재료 사용 덕분에 RCS는 비슷한 크기의 B-52의 약 1/50 수준인 2.4m2 정도로, 이는 소형 전투기와 비슷한 수준이다.[91][94][95]
개발 초기에는 탑재된 컴퓨터와 ECM 시스템 간의 미스매칭 문제(스스로를 방해한다는 조롱을 받기도 함)로 인해 개발이 지연되기도 했다.
4. 3. 업그레이드

B-1은 생산 이후 지속적으로 성능 향상을 위한 업그레이드를 거쳤다. 주요 업그레이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재래식 임무 업그레이드 프로그램 (CMUP)정밀 유도 재래식 무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새로운 MIL-STD-1760 스마트 무기 인터페이스를 추가하는 것을 목표로 시작되었다. CMUP는 여러 단계의 블록(Block)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 블록 A: 비정밀 중력탄 투하 능력을 갖춘 표준 B-1B 초기형.
- 블록 B: 향상된 합성 개구 레이다(SAR)와 개선된 방어 전자전 시스템을 탑재했다. 1995년에 실전 배치되었다.[99]
- 블록 C: 폭탄 랙 개조를 통해 출격 당 최대 30개의 집속탄(CBU)을 투하할 수 있는 "향상된 능력"을 제공했으며,[100] 각종 클러스터 폭탄 탑재 능력이 추가되었다.[207]
- 블록 D: 개선된 무기 및 조준 시스템을 통해 "근접 정밀 능력"을 추가하고, 보안 통신 기능을 강화했다.[100] 합동직격탄(JDAM), ALE-50 예인 기만체, 대재밍(anti-jam) 통신 장비 등이 추가되었고,[87][101][102] GPS 유도 폭탄(JDAM) 운용이 가능해졌다.[207]
- 블록 E: 항공 전자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하고 풍향 보정 탄약 분사기(WCMD), AGM-154 합동 원거리 무기(JSOW), AGM-158 JASSM(합동 공대지 원거리 정밀 타격 미사일)을 통합하여 폭격기의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 업그레이드는 2006년 9월에 완료되었다.[103]
- 블록 F: 항공기의 전자전 및 재밍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어 시스템 업그레이드 프로그램(DSUP)이었으나, 비용 초과와 지연 문제로 2002년 12월에 취소되었다.[104]
주요 추가 장비 및 시스템 업그레이드
- 데이터 링크 및 표시 장치 (2005년): 데이터 링크 장치가 도입되고 승무원용 표시 장치가 개선되었다.[217]
- 스나이퍼 XR 조준 포드 (2007년 통합 시작, 2008년 실용화): Sniper XR 조준 포드가 B-1 기단에 통합되었다. 이 포드는 항공기 전방 폭탄창 근처의 외부 하드포인트에 장착되며,[105] 자체 목표 지시를 통해 레이저 유도 폭탄 투하 능력을 부여했다.[207] 가속화된 테스트를 거쳐 2008년 여름에 실용화되었다.[137][106]
- 핵 공격 능력 제거 (2007년-2011년): 제2차 전략 무기 감축 조약(START II)에 따라 1994년 핵 공격 임무에서 제외되었고,[207]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공중 발사 핵 순항 미사일(ALCM, ACM) 탑재를 불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개조(플레이트 용접, 관련 케이블 제거 등)가 이루어져 핵무기 탑재 능력이 완전히 제거되었다.[217]
- 완전 통합형 데이터 링크 (FIDL, 2010년): 완전 통합형 데이터 링크(FIDL)가 장착되어 데이터 공유 능력이 향상되었다.[217]
- 링크 16 (2012년): 전술 데이터 링크 시스템인 링크 16이 탑재되었다.
- 통합 전투 스테이션 (IBS, 2012년 시작, 2020년 완료): 세 가지 개별 업그레이드(FIDL, VSDU, CITS)를 통합한 개조이다.[108]
- 완전 통합 데이터 링크(FIDL): 시스템 간 정보의 수동 입력 필요성을 줄여 데이터 공유를 자동화했다.[109]
- 수직 상황 표시 장치(VSDU): 기존 비행 계기를 다기능 컬러 디스플레이로 교체하고, 위협 회피 및 조준을 돕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추가했다.[110]
- 중앙 통합 테스트 시스템(CITS): 9,000개 이상의 항공기 매개변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시스템을 설치했다.[110]
- 기타 개선 사항: 링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기반 항법 시스템 및 GPS 안테나 교체, AN/APQ-164 레이더를 능동 전자 주사 배열(AESA) 방식의 SABR-GS(Scalable Agile Beam Radar – Global Strike) 레이더로 교체, 새로운 자세 지시계 설치 등이 포함되었다.[111] IBS 업그레이드는 2020년에 완료되었다.[108]
- 무기 탑재량 증가 및 극초음속 무기 통합 (2019년 공개): 내부 및 외부에 더 많은 무기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개조 계획이 공개되었다. 이동식 전방 벌크헤드를 사용하여 중간 무기고 공간을 확장하고, 공통 전략 로터리 발사기(CSRL)를 활용하며, 기존에 사용하지 않던 외부 하드포인트 6개를 활성화하여 무기 탑재량을 24개에서 40개로 늘릴 예정이다. 이를 통해 극초음속 미사일과 같은 더 무거운 무기(최대 약 2267.96kg) 탑재가 가능해지며, AGM-183 ARRW가 통합될 예정이다. 향후 HAWC와 같은 무기도 탑재하여 내부 및 외부 무장을 합쳐 총 31기의 극초음속 무기를 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112][113][114]
이러한 업그레이드를 통해 B-1B는 초기 설계 목적이었던 저고도 침투 핵 공격 임무에서 벗어나, 정밀 유도 재래식 무기를 사용하는 다목적 장거리 폭격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미래에는 소구경 폭탄 등 추가적인 정밀 탄약 운용 능력도 확보할 예정이다.[107]
5. 운용 역사
2010년 4월 8일, 미국 오바마 대통령과 러시아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체코 프라하에서 뉴 스타트 전략무기감축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에 따라 B-1B는 탑재된 수소폭탄을 제거하고 재래식 폭탄과 미사일만 운용하게 되었다. 반면, B-52와 B-2 스피릿은 계속해서 수소폭탄을 탑재한다.[224]
B-1 랜서는 초기 냉전 시대 소련에 대한 핵 억지력의 핵심 전력으로 개발되었으나, 소련의 붕괴와 전략 환경 변화에 따라 재래식 폭격기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조지 H. W. 부시 행정부는 재래식 능력 강화를 위한 개조를 지시했으며,[121] 1995년부터 핵무장 관련 장비 제거가 시작되었다.[127] 뉴 스타트 협정에 따라 2011년까지 핵 능력 비활성화 작업이 최종 완료되었다.[128]
재래식 폭격기로 전환된 이후 B-1B는 여러 실전에 투입되었다. 2001년 항구적 자유 작전(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시작으로 2003년 이라크 전쟁, 2011년 오디세이 새벽 작전(리비아 내전), 2015년 이후 시리아 내전 등 주요 분쟁 지역에서 활동했다. 특히 2016년부터 2017년 사이에는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여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서 한반도로 여러 차례 전개되어 대한민국 공군 및 일본 항공자위대와 연합 훈련을 실시하며 군사적 억지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2018년에는 시리아 정부군의 화학 무기 사용 의혹에 대한 응징 공격에 동원되어 AGM-158 JASSM 공대지 미사일 19발을 발사했다.
B-1은 다양한 항공기 중량 등급에서 속도, 탑재량, 거리, 상승 시간 등 총 61개 부문의 FAI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96][97] 1993년에는 중간 기착 없이 장시간 임무 수행 능력을 입증하는 장거리 비행 기록을 세웠으며,[98] 전미 항공 협회는 이를 1994년 가장 기억에 남는 비행 기록 중 하나로 선정했다.[93]
5. 1. 전략 공군 사령부 (SAC)
두 번째 B-1B인 "The Star of Abilene"은 1985년 6월 전략 공군 사령부(SAC)에 인도된 첫 번째 기체였다. 1986년 10월 1일에 초기 작전 능력(IOC)을 달성했으며, B-1B는 핵무기 경계 태세에 돌입했다.[115][116] B-1은 1990년 3월 15일에 공식적으로 "랜서"라는 이름을 받았다. 하지만 이 폭격기는 흔히 "본(Bone)"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초기에 항공기 이름이 "B-ONE"으로 표기되면서 하이픈이 빠진 데서 유래된 별명으로 알려져 있다.[117]1990년 말, 두 대의 랜서 엔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기단 전체의 운항이 중단되었다. 원인은 1단계 팬의 문제로 밝혀졌고, 항공기는 핵전쟁 발발 시에만 운용이 가능한 "제한적 경계 태세"에 돌입했다. 검사와 수리를 거쳐 1991년 2월 6일부터 다시 임무에 복귀했다.[118][119]
1991년까지 B-1은 초기 단계의 재래식 공격 능력을 갖추어 40대의 약 226.80kg Mk-82 범용(GP) 폭탄을 주로 저고도에서 투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능력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엔진 문제로 인해 걸프 전쟁의 사막의 폭풍 작전에는 투입되지 못했다.[70][120] 당시 B-1은 주로 소련에 대한 공중 핵 억지력 역할을 수행하며 전략적 핵 공격 임무에 집중되어 있었고,[120] 재래식 전쟁 역할에는 B-52가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연합군에 의해 대신 사용되었다.[120]
1991년 4월 26일, 맥코넬 공군 기지에 주기되어 있던 B-1B 10대가 1991년 앤도버 토네이도의 직접적인 경로에 놓이는 아슬아슬한 상황이 발생했다. 이 중 두 대의 폭격기에는 핵탄두가 장착되어 있었다.[122][123][124]
원래 핵전쟁만을 위해 설계되었던 B-1의 효과적인 재래식 폭격기로서의 개발은 지연되었다. 소련의 붕괴로 인해 B-1의 핵 역할에 의문이 제기되었고, 조지 H. W. 부시 행정부는 30억달러 규모의 재래식 장비 개조를 명령했다.[121]
1992년 SAC가 해체되고 공군전투사령부(ACC)가 창설되면서 B-1은 더 큰 재래식 무기 능력을 개발했다. 이러한 개발의 일환으로 미국 공군 무기 학교(USAF Weapons School) B-1 부서가 설립되었다.[125] 1994년에는 캔자스 주 방위군과 조지아 주 방위군의 이전 전투기 비행대가 해당 항공기로 전환되면서 공군 방위군에 두 개의 B-1 폭탄 비행대가 추가로 창설되었다.[126] 1990년대 중반까지 B-1은 GP 무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속탄(CBU)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대 말, "블록 D" 업그레이드가 등장하면서 B-1은 유도 및 비유도 탄약을 완벽하게 갖추게 되었다.
B-1B는 더 이상 핵무기를 탑재하지 않으며,[62] 1995년 핵 무장 및 퓨징 장비를 제거하여 핵 능력이 비활성화되었다.[127] 러시아와의 신전략무기감축협정(New START) 조항에 따라 추가 개조가 수행되었다. 여기에는 핵무기 파일런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항공기 하드포인트 개조, 핵무기 장착용 무기 창 배선 묶음 제거, 핵무기 파일런 파괴 등이 포함되었다. 개조 과정은 2011년에 완료되었으며, 러시아 관계자는 매년 항공기를 검사하여 규정 준수 여부를 확인한다.[128]
5. 2. 공군 전투 사령부 (ACC)
- 2001년: 항구적 자유 작전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여하였다.
- 2003년: 이라크 전쟁에 투입되었다.
- 2011년: 리비아 내전 개입 작전인 오디세이 새벽 작전에 참여하였다.
- 2015년: 시리아 내전 중 IS 격퇴를 위한 코바니 포위전에 동원되었다.
- 2016년-2017년: 북한의 연이은 핵실험 및 탄도 미사일 발사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자, 미국 태평양 공군 소속 B-1B가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서 한반도 상공으로 여러 차례 전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대한민국 공군 및 일본 항공자위대와 연합 훈련을 실시하며 북한의 도발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 한미 동맹의 방위 공약을 재확인하였다.
- 2018년: 시리아 내전에서 아사드 정권의 화학 무기 사용 의혹에 대한 응징으로 미국, 영국, 프랑스가 단행한 연합 공습에 참여하였다. 4월 13일, B-1B는 AGM-158 JASSM 공대지 순항 미사일 19발을 발사하여 시리아 내 목표물을 타격하였다.
5. 3. 공군 지구 타격 사령부 (GSC)
두 번째 B-1B인 '애빌린의 별'(The Star of Abileneeng)은 1985년 6월 전략공군사령부(SAC)에 인도된 첫 기체였다. 1986년 10월 1일 초기 작전 능력을 확보하고 핵 경계 태세에 들어갔다.[115][116] 1990년 3월 15일 공식적으로 '랜서'(Lancereng)라는 이름을 부여받았다. 하지만 흔히 '본'(Boneeng)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 이는 초기 신문 기사에서 'B-ONE'으로 표기된 것에서 하이픈이 빠지면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117]
1990년 말, 랜서 2기의 엔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전체 기종의 운항이 중단되었다. 원인은 1단계 팬 문제로 밝혀졌으며, 이로 인해 '제한적 경계 태세'에 돌입하여 핵전쟁 발발 시를 제외하고는 운항이 금지되었다. 검사와 수리를 거쳐 1991년 2월 6일부터 임무에 복귀했다.[118][119]
1991년까지 B-1은 초기 단계의 재래식 공격 능력을 갖추어 약 226.80kg Mk-82 범용 폭탄 40발을 주로 저고도에서 투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재래식 공격 능력이 있었음에도 엔진 문제로 인해 걸프 전쟁의 사막의 폭풍 작전에는 투입되지 못했다.[70][120] 당시 B-1은 주로 소련에 대한 공중 핵 억지력으로서 전략 핵 공격 임무를 맡고 있었다.[120] B-52가 재래식 전쟁 역할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연합군은 B-52를 대신 사용했다.[120]
원래 핵전쟁용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효과적인 재래식 폭격기로서의 개발은 지연되었다. 소련의 붕괴 이후 B-1의 핵 역할에 대한 필요성이 줄어들자,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은 30억달러 규모의 재래식 장비 개조를 명령했다.[121]
1991년 4월 26일에는 맥코넬 공군 기지에 주기 중이던 B-1B 10대가 1991년 앤도버 토네이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뻔한 사고가 있었다. 당시 10대 중 2대에는 핵탄두가 탑재된 상태였다.[122][123][124]
1992년 전략공군사령부(SAC)가 해체되고 공군전투사령부(ACC)가 창설된 이후, B-1은 재래식 무기 운용 능력을 더욱 발전시켰다. 이러한 개발의 일환으로 미국 공군 무기 학교에 B-1 부서가 설립되었다.[125] 1994년에는 캔자스 주 방위군과 조지아 주 방위군 소속의 기존 전투기 비행대가 기종을 전환하면서 공군 방위군에 B-1 폭격 비행대 2개가 추가로 창설되었다.[126] 1990년대 중반까지 B-1은 범용 폭탄(GP) 외에도 다양한 확산탄(CBU)을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대 말 '블록 D'(Block Deng) 업그레이드를 통해 유도 및 비유도 탄약을 모두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
B-1B는 더 이상 핵무기를 탑재하지 않는다.[62] 1995년부터 핵무장 및 신관 장비 제거 작업이 시작되어 핵 능력이 비활성화되었다.[127] 러시아와의 신전략무기감축협정(New START) 조항에 따라 핵무기 파일런 부착 방지를 위한 하드포인트 개조, 핵무기 장착용 배선 제거, 핵무기 파일런 파괴 등의 추가 개조가 이루어졌다. 이 개조는 2011년에 완료되었으며, 러시아 측은 매년 항공기를 검사하여 협정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128]
연도 | 작전명 | 관련 분쟁/사건 |
---|---|---|
2001년~ | 항구적 자유 작전 | 아프가니스탄 전쟁 |
2003년 | 이라크 자유 작전 | 이라크 전쟁 |
2011년 | 오디세이 새벽 작전 | 리비아 내전 |
2015년 | 내재된 결단 작전 | 시리아 내전 (코바니 포위전) |
2016년~2017년 | 한반도 전개 비행 | 북한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대응 (대한민국 공군, 항공자위대와 연합 훈련 포함) |
2018년 | 시리아 화학무기 시설 공습 | 시리아 내전 (정부군 화학 무기 사용 의혹 대응, AGM-158 JASSM 19발 발사) |
6. 대한민국
2016년 9월 9일 북한의 5차 핵 실험 이후, 미 공군은 한반도에 전략 자산을 전개하며 대응했다. 같은 해 9월 21일,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서 이륙한 B-1B 전략폭격기 2대가 오후 1시 10분경 오산 공군기지 상공에 도착했으며, 그중 1대가 기지에 착륙했다. 이는 북한의 핵 도발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경고 메시지로 해석되었다.
2017년에는 북미 간 긴장이 더욱 고조되었다. 9월 19일 유엔 총회 연설에서 당시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북한을 완전히 파괴할 수 있다는 강경한 발언을 했다. 며칠 뒤인 9월 23일 밤, 미 공군 B-1B 전략폭격기 2대가 다시 앤더슨 공군기지를 이륙했다. 이 폭격기들은 중간에 KC-135 공중급유기의 지원을 받았으며, 오키나와 가데나 공군 기지에서 발진한 미 공군 F-15C 전투기 6대의 호위를 받으며 동해 상공의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비행했다. 이는 21세기 들어 미군 폭격기가 북방한계선(NLL) 북쪽 동해상의 국제 공역을 비행한 가장 북쪽 경로였다. 이 비행은 리용호 당시 북한 외무상이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기 몇 시간 전에 이루어졌으며, 미국 국방부는 이 사실을 이례적으로 공개했다. 미국 폭격기와 전투기가 북한 동해의 공해상까지 비행한 것은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225]
B-1B 전략폭격기는 최대 1.2메가톤(Mt) 위력의 B83 수소폭탄 24발을 탑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B-1B 2대가 출격할 경우 이론적으로 총 48발, 약 57.6 Mt의 핵무장을 할 수 있는데, 이는 13킬로톤(kt) 폭발력의 히로시마 원폭(리틀보이) 약 4,430발에 해당하는 파괴력이다. 2017년 9월 23일 새벽, B-1B가 한국전쟁 이후 처음으로 북방한계선(NLL) 북쪽 동해상 공역을 비행했을 때 실제 핵무기를 탑재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7. 파생형
2015년 4월 발표된 미국 공군의 조직 개편에 따라, 모든 B-1은 2015년 10월 공군 지구 타격 사령부(GSC)로 재배치되었다.[151]
2017년 7월 8일, 미국 공군은 북한의 ICBM 시험 발사(7월 4일) 등으로 고조되는 긴장에 대응하여 무력 시위의 일환으로 B-1 두 대를 북한 국경 근처에서 비행시켰다.[152] 이는 알래스카까지 도달할 수 있는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된다.
2018년 4월 14일, B-1은 시리아에서 2018년 다마스쿠스와 홈스 폭격 작전에 참여하여 19발의 JASSM 미사일을 발사했다.[153][154][155] 2019년 8월 기준으로, B-1B 6대가 완전한 임무 수행 능력을 갖춘 상태였고, 15대는 창정비 중이었으며, 39대는 수리 및 점검을 받고 있었다.[156]
2021년 2월, 미국 공군은 B-1 17대를 퇴역시키고 총 45대의 B-1을 운용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퇴역 기체 중 4대는 필요시 다시 투입할 수 있는 상태로 보관될 예정이었다.[157][158] 같은 해 3월, B-1은 처음으로 노르웨이의 외를란 메인 공군 기지에 배치되었다. 배치 기간 동안 노르웨이 및 스웨덴 지상군의 합동 최종 공격 통제관 (JTAC)과 함께 폭격 훈련을 실시했다. 또한 B-1 한 대는 보되 메인 공군 기지에서 'Warm-pit refueling|웜핏 재급유eng'(엔진을 켠 상태로 재급유)를 수행했는데, 이는 B-1이 노르웨이의 북극권 내에 착륙한 첫 사례였다. 이 훈련에는 스웨덴 공군의 JAS 39 그리펜 전투기 4대도 함께 참여했다.[159][160]
2024년 2월 2일, 미국은 요르단에서 발생한 드론 공격으로 미군 3명이 사망한 사건에 대한 다단계 대응의 일환으로 이라크와 시리아에 대한 공습을 단행했다. 이 공습에는 B-1B 2대가 동원되어 7개 지역의 85개 목표물을 타격했다.[161]
'''대중문화 속 등장'''
8. 운용 부대
현재 미국 공군은 주로 텍사스주의 다이스 공군기지와 사우스다코타주의 엘스워스 공군기지에 B-1B 랜서를 배치하여 운용하고 있다.[168] 퇴역하거나 시험용으로 사용된 일부 기체는 미국 전역의 박물관 및 공군 기지에 전시되어 있다.
=== 전시 중인 항공기 ===
==== B-1A ====
기체 번호 | 전시 위치 | 비고 |
---|---|---|
74-0160 | 윙스 오버 더 록키스 항공우주 박물관(Wings Over the Rockies Air and Space Museum), 전 로우리 공군 기지, 덴버, 콜로라도주[166] | |
76-0174 | 전략 공군 및 항공우주 박물관(Strategic Air Command & Aerospace Museum), 애슐랜드, 네브래스카주 인근[167] | B-1B 변형에 사용된 기존의 사출좌석 및 기타 기능을 갖추고 있음. |
==== B-1B ====
기체 번호 | 별칭 | 전시 위치 | 비고 |
---|---|---|---|
83-0065 | 애빌린의 별 (Star of Abilene) | 다이스 공군기지 선형 에어 파크, 텍사스주 | 미국 공군에 인도된 첫 B-1B 기체. 다이스 공군기지는 활동 중인 두 개의 공군 B-1B 비행대 중 하나가 주둔하는 곳이다. |
83-0066 | 올드 푸스 (Old Puss) | 마운틴 홈 공군기지 헤리티지 파크, 아이다호주 | 바퀴가 휠웰에 수납된 상태로 전시 중. |
83-0067 | 텍사스 레이더 (Texas Raider) | 사우스 다코타 항공우주 박물관, 엘스워스 공군기지, 사우스다코타주[168] | 엘스워스 공군기지는 활동 중인 두 개의 공군 B-1B 비행대 중 하나가 주둔하는 곳이다. |
83-0068 | 스퍼즈 (Spurs) | 맥코넬 공군기지 자유의 반사 에어 파크, 위치토, 캔자스주 | 과거 미국 공군 및 공군 방위군 B-1B 기지. |
83-0069 | 사일런트 페네트레이터 (Silent Penetrator) / 조지아에서 온 미드나잇 트레인 (Midnight Train from Georgia) | 항공 박물관, 로빈스 공군기지, 워너 로빈스, 조지아주[169] | 여섯 번째로 생산된 B-1 기체로, 1986년 3월 13일 텍사스주 다이스 공군기지의 제96폭격 비행대에 인도됨. 2002년 9월 로빈스 공군기지에 도착. 과거 두 개의 공군 방위군 B-1B 비행대 중 하나가 주둔했던 곳. 2015년 4월까지 조지아에서 온 미드나잇 트레인으로 개명됨. |
83-0070 | 7 위시스 (7 Wishes) | 힐 항공우주 박물관, 힐 공군기지, 오그덴, 유타주[170] | |
83-0071 | 스핏 파이어 (Spit Fire) | 팅커 공군기지 정문 근처, 오클라호마주 | 1990년 비행 중 엔진 고장으로 인해 B-1B 전체 기종의 비행 금지 조치를 유발했던 두 대 중 하나. |
84-0051 | 보스 호그 (Boss Hog) | 미국 공군 국립 박물관,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 데이턴 인근, 오하이오주[171] | 박물관의 냉전 갤러리에 전시되어 있으며, 이전에 전시되었던 B-1A (기체 번호 76-0174)를 대체함. |
9. 제원 (B-1B)
'''일반 특성'''[93][186][76][87]
- '''승무원:''' 4명 (항공기 지휘관, 조종사, 공격 시스템 장교, 방어 시스템 장교)
- '''화물 탑재량:''' 56700kg (내부 및 외부 무장 합계)
- '''길이:''' 44.5m
- '''날개폭:'''
- * 펼침: 42m
- * 접힘: 24m
- '''높이:''' 10.4m
- '''날개면적:''' 181.2m2
- '''공허중량:''' 87100kg
- '''만재중량:''' 148000kg
- '''최대이륙중량:''' 216400kg
- '''엔진:''' 4 × 제너럴 일렉트릭 F101-GE-102 애프터버너 터보팬 엔진
- * 기본 추력: 각각 77.4 kN (17390lbf)
- * 애프터버너 추력: 각각 136.92 kN (30780lbf)
- '''연료 탑재량:''' 내부 무장창 1~3개에 각각 10000USgal (37900L) 연료 탱크 탑재 가능
'''성능'''[93][186][76][87]
- '''최고속도:'''
- * 고고도: 마하 1.25 (1335km/h), 고도 15000m
- * 저고도: 마하 0.92 (1100km/h), 고도 60m ~ 150m
- '''항속거리:''' 9400km (5100nmi)
- '''전투행동반경:''' 5543km (2993nmi)
- '''최고고도:''' 18000m
'''무장'''[93][186][76][87]
- '''하드포인트:'''
- * 6 × 외부 하드포인트, 최대 23000kg 탑재 가능 (START I 조약에 따라 사용 제한)[137][188]
- * 3 × 내부 무장창, 최대 34000kg 탑재 가능[189]
- '''탑재 가능 무장:'''
- * 폭탄:
- ** 84 × Mk-82 AIR (Air Inflatable Retarder) 범용 폭탄[190]
- ** 81 × Mk-82 LDGP (Low Drag General Purpose) 범용 폭탄[191]
- ** 84 × Mk-62 퀵스트라이크 해상 기뢰[192]
- ** 24 × Mk-84 범용 폭탄 (무게 1ton)
- ** 24 × Mk-65 해상 기뢰[194]
- ** 30 × CBU-87/89/CBU-97 집속탄 (CBU)
- ** 30 × CBU-103/104/105 WCMD (Wind Corrected Munitions Dispenser) CBU
- ** 24 × GBU-31 JDAM GPS 유도 폭탄 (Mk-84 또는 BLU-109 탄두, 무게 1ton)
- ** 15 × GBU-38 JDAM GPS 유도 폭탄 (Mk-82 탄두)
- ** 48 × GBU-38 JDAM (회전식 발사기 다중 투하 랙 사용)[193]
- ** 48 × GBU-54 레이저 JDAM (회전식 발사기 다중 투하 랙 사용)[193]
- ** 24 × AGM-154 JSOW (사거리 130km, 무게 500kg)
- ** 96 × 또는 144 × GBU-39 SDB GPS 유도 폭탄 (아직 B-1B에 통합되지 않음)
- ** 과거 탑재 가능: 24 × B61 또는 B83 핵폭탄 (뉴 스타트 조약 이후 미탑재)[194]
- * 미사일:
- ** AGM-158 JASSM (합동 공대지 장거리 미사일, 사거리 370km, 무게 1ton)
- ** AGM-158C LRASM (장거리 대함 미사일)[197]
- ** AGM-183 ARRW (공중 발사 신속 대응 무기)[198]
폭탄 랙 및 적재물[199] | 베이 1 | 베이 2 | 베이 3 | 합계 |
---|---|---|---|---|
재래식 (Conventional Bomb Module) | ||||
CBM 1277kg ~ 1593kg | 1 | 1 | 1 | |
28 | 28 | 28 | 84 | |
재래식 (Cluster Bomb Module) | ||||
SECBM (TMD 업그레이드 포함 CBM) 1277kg (비어 있음) | 1 | 1 | 1 | |
10 | 10 | 10 | 30 | |
GBU-38 | 6 | 6 | 3 | 15 |
다목적 (Multi-Purpose Rotary Launcher) | ||||
MPRL 590kg ~ 932kg | 1 | 1 | 1 | |
8 | 8 | 8 | 24 | |
Mk-65 해군 기뢰 | 4 | 4 | 4 | 12 |
8 | 8 | 8 | 96 또는 144 | |
다목적 (혼합) | ||||
MPRL (MER 업그레이드)[200] | 1 | 1 | 1 | |
* GBU-38, GBU-32, GBU-31 | 4 | 4 | 4 | 36 |
GBU-38 | 16 | 16 | 16 | 48 |
페리/항속 거리 연장 | ||||
연료 탱크 2975USgal (11262L)[201] | 1 | 1 | 1 | 3 9157USgal (34663L)[202] |
핵 (균일; 사용 중지) | ||||
1 | 1 | 1 | ||
B28 핵폭탄[203] | 4 | 4 | 4 | 12 |
8 | 8 | 8 | 24 | |
핵 (혼합)(사용 중지)[204] | ||||
1 | ||||
AGM-86 ALCM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소형 연료 탱크 8 | 8 |
'''항전 장비'''
- 1 × AN/APQ-164 전방 감시 공격 수동 전자 주사 배열 레이더
- 1 × AN/ALQ-161 레이더 경고 수신기 및 방어 재밍 장비
- 1 × AN/ASQ-184 방어 관리 시스템
- 1 × Sniper Advanced Targeting Pod (선택 사항)[195][196]
참조
[1]
웹사이트
B-1B Lancer
https://www.af.mil/A[...]
2024-02-13
[2]
웹사이트
Farewell, Bones: Air Force finishes latest round of B-1B bomber retirements
https://www.airforce[...]
2021-09-24
[3]
웹사이트
B-1B Lancer
https://www.af.mil/A[...]
2024-02-03
[4]
웹사이트
Last of 17 Retired B-1s Sent to Boneyard as Air Force Preps for B-21s
https://www.military[...]
2021-10-09
[5]
웹사이트
USAF to Retire B-1, B-2 in Early 2030s as B-21 Comes On-Line
http://www.airforcem[...]
2018-03-05
[6]
문서
Jenkins 1999, p. 10.
[7]
참고
[8]
참고
[9]
서적
Skunk Works
Little, Brown & Company
1994
[10]
참고
[11]
웹사이트
May 1960 – The U-2 Incident. – Soviet and American Statements.
http://www.keesings.[...]
Keesing's Record of World Events
1960
[12]
참고
[13]
참고
[14]
웹사이트
NASA-CR-115702, B-70 Aircraft Study Final Report, Vol. I, p. I-38.
https://ntrs.nasa.go[...]
NASA
1972
[15]
참고
[16]
참고
[17]
참고
[18]
문서
Gunston 1978, pp. 12–13.
[19]
웹사이트
Subsonic Low Altitude Bomber
https://apps.dtic.mi[...]
Wright-Patterson Air Force Base ASD-TDR-62-426
1962-06
[20]
참고
[21]
참고
[22]
참고
[23]
참고
[24]
참고
[25]
간행물
16th Annual Meeting and Technical Display
2021-04-07
[26]
참고
[27]
참고
[28]
웹사이트
B-1A page.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8-03-20
[29]
참고
[30]
문서
Schwartz 1998, p. 119.
[31]
참고
[32]
웹사이트
AN/APQ – Airborne Multipurpose/Special Radars
http://www.designati[...]
2015-01-27
[33]
참고
[34]
웹사이트
Our New B-1 Bomber – High, Low, Fast, and Slow.
https://books.google[...]
Popular Science
1970-11
[35]
참고
[36]
서적
Knaack
[37]
웹사이트
Rockwell International history 1970–1986.
http://www.boeing.co[...]
2009-10-08
[38]
서적
Sorrels
[39]
서적
Whitford
[40]
간행물
The Other Story About The Controversial B-1.
https://books.google[...]
Popular Science
1977-05
[41]
서적
Spick
[42]
서적
Knaack
[43]
서적
Jane's All The World's Aircraft 1975–76
[44]
서적
Jenkins
[45]
뉴스
Japan's scrutiny of Soviet jet jars détente.
https://pqasb.pqarch[...]
Christian Science Monitor
1976-09-16
[46]
서적
Donald
[47]
서적
Knaack
[48]
뉴스
Carter's Big Decision: Down Goes the B-1, Here Comes the Cruise.
https://content.time[...]
Time
1977-07-11
[49]
서적
Withington
[50]
서적
Pace
[51]
서적
Sorrels
[52]
뉴스
Dropping B-1 Would Bring World War III, Dornan Says.
https://pqasb.pqarch[...]
Los Angeles Times
1977-06-11
[53]
서적
Jenkins
[54]
논문
Does the USSR Have a 'Grand Strategy'? Reinterpreting the Invasion of Afghanistan
https://www.jstor.or[...]
1987
[55]
서적
U.S. Defense Policy: Weapons, Strategy, and Commitments
https://books.google[...]
Congressional Quarterly
2019-10-22
[56]
간행물
Reagan's Radio Address to the Nation on Foreign Policy.
http://www.president[...]
1984-10-20
[57]
서적
Schwartz
[58]
간행물
IB81107, "Bomber Options for Replacing B-52s."
https://digital.libr[...]
Library of Congres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via Digital Library, UNT
1982-05-03
[59]
간행물
Global Strike Task Force: A Transforming Concept, Forged by Experience.
http://oai.dtic.mil/[...]
Aerospace Power Journal
2001
[60]
뉴스
Reagan approves B-1, alters basing for MX.
https://pqasb.pqarch[...]
Chicago Tribune
1981-10-03
[61]
서적
Jenkins
[62]
서적
Lee
[63]
서적
Spick
[64]
서적
Casil
[65]
뉴스
Former defense chief raps B-1 bomber plan.
http://www.csmonitor[...]
Christian Science Monitor
1981-09-21
[66]
웹사이트
B-1 Lancer
https://www.scribd.c[...]
2024-04-24
[67]
서적
Jenkins
[68]
서적
Jenkins
[69]
웹사이트
B-1B Background Information.
http://www.boeing.co[...]
Boeing
2009-10-08
[70]
서적
Dao
[71]
뉴스
Rockwell to Sell Off Space, Defense Divisions to Boeing
https://www.latimes.[...]
1996-08-02
[72]
서적
[73]
서적
[74]
웹사이트
AIAA-1972-772, B-1 Structural Mode Control System.
http://www.aiaa.org/[...]
1972-08-09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웹사이트
F110 Family.
http://www.geae.com/[...]
GE Aviation
2010-01-25
[80]
웹사이트
CFM delivers 20,000th engine
http://www.cfm56.com[...]
CFM International
2010-01-25
[81]
서적
[82]
서적
[83]
웹사이트
Ch4-3
http://www.hq.nasa.g[...]
NASA
2015-04-01
[84]
간행물
Jovial to smooth U.S. Air Force shift to Ada. (processing language)
1984-03-01
[85]
웹사이트
AN/APQ-164 B-1B Radar
http://www.es.northr[...]
Northrop Grumman
2010-01-25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웹사이트
AN/ALQ-153 Missile Warning System
https://www.fas.org/[...]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5-02-02
[91]
서적
[92]
웹사이트
AIAA-1997-2963: B-1B/MJU-23 flare strike test program.
http://pdf.aiaa.org/[...]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09-10-08
[93]
웹사이트
B-1B USAF fact sheet
http://www.af.mil/Ab[...]
U.S. Air Force
2017-06-25
[94]
웹사이트
Radar Cross Section Measurements (8–12 GHz) of Magnetic and Dielectric Microwave Absorbing Thin Sheets
http://www.sbfisica.[...]
2017-03-03
[95]
웹사이트
The New Old Threat: Fighter Upgrades and What They Mean for the USAF
https://apps.dtic.mi[...]
Illinois State University
1997-12-03
[96]
서적
[97]
웹사이트
History – B-1 Lancer Bomber.
http://www.boeing.co[...]
Boeing
2010-07-31
[98]
서적
[99]
웹사이트
Aerospaceweb.org {{!}} Aircraft Museum - B-1B Lancer
https://aerospaceweb[...]
2024-05-13
[100]
서적
[101]
웹사이트
Boeing Completes Block E Avionics Upgrade of B-1 Bomber Fleet.
http://www.boeing.co[...]
Boeing
1998-12-04
[102]
웹사이트
Building Blocks to Upgrade to B-1B
http://www.aviationt[...]
Avionics Magazine
2002-08-01
[103]
웹사이트
Boeing 2006 Block E Upgrades.
http://www.boeing.co[...]
Boeing
2006-09-27
[104]
웹사이트
Block F Upgrades.
https://web.archive.[...]
US Air Force
2003-01-21
[105]
웹사이트
419th FLTS demonstrates Sniper pod capability.
https://www.edwards.[...]
US Air Force
2007-02-23
[106]
웹사이트
B-1 Sniper pod aims to hit summer target.
https://www.edwards.[...]
US Air Force
2008-06-04
[107]
웹사이트
ACC declares small diameter bomb initially operational
http://www.af.mil/ne[...]
United States Air Force
2006-10-05
[108]
뉴스
B-1B Integrated Battle Station modification completed
https://www.tinker.a[...]
2020-09-24
[109]
웹사이트
Boeing B-1 Upgraded With Fully Integrated Data Link Completes 1st Flight.
http://boeing.mediar[...]
Boeing
2009-08-13
[110]
웹사이트
B-1B Systems Engineer Explains How IBS Makes Future Bomber Upgrades Easier
https://www.aviation[...]
2020-10-08
[111]
웹사이트
Air Force Begins Massive B-1B Overhaul
http://defensetech.o[...]
Defensetech.org
2014-02-21
[112]
웹사이트
B-1B bomber modified to carry hypersonic missiles
https://newatlas.com[...]
New Atlas
2019-09-09
[113]
웹사이트
Hypersonic weapons could give the B-1 bomber a new lease on life
https://www.defensen[...]
2019-09-16
[114]
웹사이트
AFGSC Eyes Hypersonic Weapons for B-1, Conventional LRSO
https://www.airforce[...]
2020-04-07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문서
B-1 aircrew logbook entry.
[120]
서적
[121]
서적
[122]
웹사이트
Timeline for supercell that produced the Wichita/Andover Tornado
https://www.weather.[...]
2024-11-20
[123]
웹사이트
Top Ten KS Tornadoes
https://www.weather.[...]
2024-11-20
[124]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deadly 1991 Andover tornado
https://www.ksn.com/[...]
2024-04-26
[125]
웹사이트
JDAM Course Ushers B-1 Students Into New Era".
https://web.archive.[...]
Program Manager
1999-11-01
[126]
서적
[127]
서적
[128]
웹사이트
START Lanced the B-1's Nukes, But the Bomber Will Still Get New Bombs
http://www.military.[...]
Military Advantage
2017-07-12
[129]
서적
[130]
뉴스
B-1 bomber's final flight.
http://nl.newsbank.c[...]
Arizona Star
2002-08-21
[131]
웹사이트
Lawmakers look after home military installations.
http://www.govexec.c[...]
govexec.com
2004-06-25
[132]
간행물
USAF Almanac: Facts and Figures
http://www.airforce-[...]
2005-05
[133]
웹사이트
Air Force Quietly Building Iraq Presence.
http://www.commondre[...]
commondreams.org
2007-07-14
[134]
웹사이트
B-1 performs as never envisioned after 20 years.
http://www.acc.af.mi[...]
US Air Force
2008-04-17
[135]
서적
[136]
웹사이트
B-1B achieves first supersonic flight using synthetic fuel
http://www.af.mil/ne[...]
2008-03-20
[137]
웹사이트
Sniper ATP-equipped B-1B has combat first.
http://www.af.mil/ne[...]
US Air Force
2008-08-11
[138]
뉴스
Ellsworth Airmen join Operation Odyssey Dawn.
http://www.rapidcity[...]
Rapid City Journal
2011-03-29
[139]
간행물
The 2018 Bomber and Its Friends.
http://www.airforce-[...]
2006-10
[140]
웹사이트
The Air Force Needs a Serious Upgrade,
http://www.brookings[...]
Brookings Institution
2010-07-15
[141]
뉴스
Why Can't the Air Force Build an Affordable Plane?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2-03-26
[142]
뉴스
Budget cutting axe may fall on the U.S. bomber force.
http://www.reportern[...]
Reporter News
2010-06-28
[143]
뉴스
New B-21 bomber named 'Raider': U.S. Air Force
https://www.reuters.[...]
Reuters
2016-09-19
[144]
뉴스
B-1 bomber mission shifts from Afghanistan to China, Pacific.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2-05-11
[145]
웹사이트
The 24/7 Bone Over Afghanistan.
http://strategypage.[...]
2012-08-15
[146]
웹사이트
U.S. Air Force tests B-1B Lancer bomber for maritime environment & anti-ship missions
http://www.navyrecog[...]
2013-09-19
[147]
웹사이트
Air Force fighters, bombers conduct strikes against ISIL targets in Syria
https://www.af.mil/N[...]
United States Air Force
2014-09-23
[148]
웹사이트
Inside the B-1 crew that pounded ISIS with 1,800 bombs
https://www.airforce[...]
2015-08-23
[149]
웹사이트
A-10 Performing 11 Percent of Anti-ISIS Sorties
http://www.defensene[...]
2015-01-19
[150]
웹사이트
B-1 bombers pulled from ISIS fight
http://edition.cnn.c[...]
CNN
2016-02-21
[151]
웹사이트
AF realigns B-1, LRS-B under Air Force Global Strike Command
http://www.af.mil/Ne[...]
United States Air Force
2015-04-20
[152]
웹사이트
2 US Air Force B-1 bombers fly near North Korean border in show of force
https://www.foxnews.[...]
Fox News
2017-07-08
[153]
웹사이트
United States, France, And UK Begin Air Strikes on Syria (Updating Live)
https://www.thedrive[...]
2018-04-13
[154]
뉴스
Weapons the US, UK and France used to target Syria
https://www.cnn.com/[...]
CNN
2018-04-14
[155]
웹사이트
US May Ramp Up Buy of the Missile That Just Made Combat Debut in Syria
https://www.military[...]
2018-04-17
[156]
웹사이트
Only 6 of 61 US Air Force B-1B Strategic Bombers Are Fully Combat-Ready
https://thediplomat.[...]
2019-08-07
[157]
뉴스
USAF begins B-1B retirements
https://www.janes.co[...]
2021-02-19
[158]
웹사이트
AFGSC begins retirement of B-1 aircraft, paving way for B-21
https://www.af.mil/N[...]
United States Air Force
2021-02-18
[159]
웹사이트
Samövning med amerikanskt bombflyg
https://www.forsvars[...]
Försvarsmakten
2021-02-22
[160]
웹사이트
Utvikler samarbeid
https://www.forsvare[...]
2021-03-09
[161]
웹사이트
Analysis: What to make of the US strikes against pro-Iranian militias in Iraq and Syria
https://www.cnn.com/[...]
CNN
2024-02-02
[162]
문서
Donald 1997, p. 723.
[163]
간행물
Offering Unique Solutions for Global Strike Force.
http://www.boeing.co[...]
Boeing
2004
[164]
뉴스
Long-Range Strike in a Hurry.
http://www.airforce-[...]
Air Force Magazine
2004-11
[165]
웹사이트
rage resurrected from boneyard
https://theaviationi[...]
2024-07-14
[166]
웹사이트
B-1A Lancer/74-160.
http://wingsmuseum.o[...]
[167]
웹사이트
B-1A Lancer/76-174.
http://sasmuseum.com[...]
[168]
웹사이트
B-1B Lancer/83-0067.
http://www.sdairands[...]
[169]
웹사이트
B-1B Lancer/83-0069.
http://www.museumofa[...]
[170]
웹사이트
B-1B Lancer/83-0070.
http://www.hill.af.m[...]
[171]
웹사이트
B-1B Lancer/84-0051.
http://www.nationalm[...]
[172]
웹사이트
B-1B Lancer Accidents and Incidents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24-01-28
[173]
웹사이트
Accident Rockwell B-1B Lancer 85-0089
https://aviation-saf[...]
2024-01-28
[174]
웹사이트
74-0159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24-01-09
[175]
서적
Jenkins
1999
[176]
웹사이트
84-0052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24-01-09
[177]
웹사이트
86-0106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24-01-09
[178]
웹사이트
85-0078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24-01-09
[179]
뉴스
Crew Rescued After B-1 Bomber Crashes into Indian Ocea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1-12-12
[180]
웹사이트
86-0014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24-01-09
[181]
웹사이트
Andersen, Tinker rebuild B-1
https://www.andersen[...]
2007-12-03
[182]
웹사이트
85-0091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24-01-09
[183]
웹사이트
United States Air Force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Board Report: B-1B, T/N 85-0089
https://www.afjag.af[...]
United States Air Force
2024-03-06
[184]
웹사이트
B-1 bomber crashes at South Dakota Air Force base, crew ejects safely
https://www.stripes.[...]
2024-01-06
[185]
웹사이트
85-0085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2024-01-09
[186]
서적
Jenkins
1999
[187]
간행물
B-1
https://www.britanni[...]
2021-09-16
[188]
웹사이트
ACQWeb
http://www.acq.osd.m[...]
[189]
웹사이트
Boeing: B-1B Lancer
http://www.boeing.co[...]
Boeing
2017-08-08
[190]
문서
As per B-1B Weapons Loading Checklist T.O. 1B-1B-33-2-1CL-8
[191]
문서
As per B-1B Weapons Loading Checklist T.O. 1B-1B-33-2-1CL-7 (changed from 84 to 81 due to fit issues on 28X CBM with new tailkits)
[192]
뉴스
Bad to the B-ONE.
http://www.airforce-[...]
Air Force Magazine
2007-03
[193]
웹사이트
337 TES demonstrates ability to triple B-1 payload
https://www.eglin.af[...]
7th Bomb Wing Public Affairs, USAF
2011-04-07
[194]
서적
Jenkins
1999
[195]
뉴스
The Big Squeeze.
http://www.airforce-[...]
Air Force Magazine
2007-10
[196]
뉴스
B-1 crews conduct TWF test; receive pod spin-up.
http://www.acc.af.mi[...]
Air Force Print News Today
2008-02-29
[197]
뉴스
The B-1 Bomber Has a New Mission
https://www.popularm[...]
Popular Mechanics
2017-08-22
[198]
웹사이트
B-1B Lancer | The B-1 Bomber Might Carry Hypersonic Missiles
https://www.popularm[...]
2020-04-09
[199]
웹사이트
The Weapons File
https://peonet.eglin[...]
Air Armament Center
[200]
웹사이트
B-1B Lancer upgrade will triple payload
http://www.af.mil/Ne[...]
US Air Force News
2011-04-11
[201]
서적
Uncovering the Rockwell B-1B Lancer
Daco Publications
2006
[202]
문서
Technical Order 00-105E-9 Revision 11
2006-02-01
[203]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U.S. Military Weapons
Berkley Hardcover
1995-08-01
[204]
웹사이트
The B-1B Bomber and Options for hancements
http://www.cbo.gov/s[...]
Congressional Budget Office
1988-08
[205]
웹사이트
Sniper ATP-equipped B-1B has combat first
http://www.af.mil/Ne[...]
US Air Force News
2008-08-11
[206]
웹사이트
NA 95-1210 B-1B Fact Book
https://fas.org/nuke[...]
North American Aircraft, Rockwell International
1995-07-20
[207]
간행물
イスラム国」爆殺超音速爆撃機B-1B
株式会社ジャパン・ミリタリーレビュー
2015-04
[208]
웹사이트
Combat-tested U.S. bombers headed to Pacific
https://edition.cnn.[...]
CNNPolitics
[209]
웹사이트
Last of 17 Retired B-1s Sent to Boneyard as Air Force Preps for B-21s
https://www.military[...]
2021-09-24
[210]
웹사이트
USAF to Retire B-1, B-2 in Early 2030s as B-21 Comes On-Line
https://www.airandsp[...]
2018-02-09
[211]
서적
B-2 Spirit: The Most Capable War Machine on the Planet
McGraw-Hill
[212]
뉴스
ボーイングのB─1爆撃機などに中国産資材、米国防総省調査で判明
http://jp.reuters.co[...]
2017-10-08
[213]
간행물
The New START Treaty:Central Limits and Key Provisions
https://sgp.fas.org/[...]
[214]
웹사이트
Goldfein Forecasts B-1 Cuts, More B-21s
https://www.airandsp[...]
[215]
간행물
航空最新ニュース・海外軍事航空 B-1B 17機を早期退役 4機は復帰可能状態を維持
文林堂
2021-05
[216]
잡지
J-Wings
2021-05
[217]
웹사이트
B-1B Lancer
http://www.af.mil/Ab[...]
U.S. Air Force
[218]
뉴스
「米英軍、イラク攻撃 ブッシュ大統領が宣言」
http://www.asahi.com[...]
2018-10-20
[219]
뉴스
「爆弾倉を3回空に」米軍のB1爆撃機 コバニでの6か月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7-05-29
[220]
뉴스
【北朝鮮核実験】米戦略爆撃機B1が朝鮮半島に展開 空自機とも九州上空で日米共同訓練を実施
https://www.sankei.c[...]
2018-10-20
[221]
뉴스
米戦略爆撃機、今度は朝鮮半島に飛来 北朝鮮ICBMに対抗
https://www.cnn.co.j[...]
CNN
2017-07-09
[222]
뉴스
原料やデータを破壊/米説明 兵器自体は狙わず
2018-04-15
[223]
간행물
航空最新ニュース・海外軍事航空 エンジントラブルを受けB-1Bが飛行停止に
文林堂
2021-07
[224]
뉴스
美 B-1B, 군사분계선 부근 첫 무력비행…'핵폭주' 김정은 정조준(종합3보)
연합뉴스
2016-09-21
[225]
뉴스
美폭격기 최북단 무력시위 vs 北리용호 '말폭탄'…강대강 대치
뉴스1
2017-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